Song of slow groth 느린 자람의 노래, 2019
정혜정x노경택x조은희x서기준
퍼포먼스 조은희x성슬기x안정아
『느린 자람의 노래』는 식물에 관한 주제로 시각예술가, 사운드 아티스트, 가구디자이너, 프로그래밍 엔지니어가 장르간의 협업을 통해 식물 성장과 데이터를 번역하는 과정을 주고받으며 만들어지는 접점을 작업화한다.
우리가 선정한 세가지 식물은 곧고 길게 자라는 덩굴식물인 아이비, 축축한 곳에서 회전하며 프랙탈 구조를 만드는 고사리, 360도 방향으로 뿌리가 뻗어나가며 넓어지는 감자이며, 이들은 서로 다른 온습도와 방향성, 역사와 감각을 가지고 있다.
작업은 두가지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되었다.
첫번째로 빠른 속도의 인간중심적 세계에서는 눈치채지 못하는 느린 식물의 성장을 주목하고, 성장의 요소들을 체계화시켜서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5개월에 걸쳐 감자, 고사리, 아이비를 관찰테이블에서 키우며 성장에 관한 데이터를 프로그래밍하여 데이터화한다. 그것은 사운드 아티스트를 통해 스코어로 다시 짜여져 ‘전자음악’의 형식으로 번역된다.
두번째로는 선정한 식물의 역사, 이야기, 환경 등을 조사하고, 이것을 프로그래밍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의 형식으로 압축한다. 각 식물의 특성에 따라 시의 운율, 리듬감, 반복등이 모두 다른 개성있는 말투로 드러나며 ‘정가’와 ‘민요’를 하는 두명의 퍼포머를 통해 재해석된다.
두가지 재료로 만들어진 스코어는 ‘전자음악’과 ‘전통소리’라는 매체를 통해 음악화되고, 퍼포머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만들어진 식물의 ‘시’를 ‘음악’과의 경계에서 넘나들며 발화한다.
금천예술공장에서는 1층부터 3층까지 설치가 흩어져 있으며, 실내 공간과 가구, 관찰 실험실과 열람실, 전시와 공연 사이를 넘나들며, 구상(1층)에서 추상(3층)화되며 공간을 이어간다. 드로잉과 공간 설치는 1층의 흩어진 정보더미에서 3층까지 이동하며 압축되고, 구체성이 제거되고, 비구상화된다. 퍼포머는 1층에서 3층을 아우르며 이동하며 3악장의 공연을 펼친다.
식물의 성장과 데이터는 네명의 작가를 통해 언어, 소리, 조형, 공간, 음악의 형태가 되고, 그것은 서로에게 반응하며, 새로운 매체로 번역되며 그 영역을 넓혀간다.
-
『Song of Slow Growing』 is a plant-related theme, where visual artists, sound artists, furniture designers, and programming engineers exchange the process of plant growth and data translation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genres.
The three plants we selected are ivy, a vine plant that grows straight and long, a fern that rotates in a damp place and creates a fractal structure, and a potato that grows with its roots extending in the 360-degree direction. have.
The work proceeded simultaneously in two directions.
First, we pay attention to the slow growth of plants that we do not notice in the fast human-centered world, and create a database by organizing the factors of growth. Potatoes, ferns, and ivy are grown on an observation table for 5 months, and data on growth is programmed and converted into data. It is rewritten into a score by a sound artist and translated into the form of “electronic music”.
Second, it examines the history, story, and environment of the selected plant, and compresses it into a form of'poetry' through a programming program.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the rhyme, rhythm, and repetition of poetry are all revealed in a distinctive tone, and are reinterpreted through two performers who sing'jeongga' and'folk song'.
Scores made of the two materials are made into music through the medium of “electronic music” and “traditional sound,” and the performer utters the “poetry” of plants made through programming, crossing the border with “music”.
In the Geumcheon Art Factory, installations are scattered from the 1st to 3rd floors, and the space is continued through the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the observation laboratory and the reading room, between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nd abstraction (3rd floor) on the conception (1st floor). Drawings and space installations move from the scattered information pile on the first floor to the third floor and are compressed, concreteness removed, and non-figuring. The performer moves from the first floor to the third floor and performs in three movements.
Plant growth and data become the form of language, sound, formativeness, space, and music through four writers, which respond to each other, translate into new media, and expand their domain.